본문 바로가기
미국 대학 입시

2025년 Common App Honors 섹션 완벽 가이드

by 플라이드림 2025. 8. 4.
반응형

미국 대학 합격을 위한 수상경력 정리법

미국 유학을 준비하면서 Common App을 작성하다 보면, 많은 학생들이 **Honors 섹션(우수 경력 입력란)**에서 멈칫하게 됩니다.
“기억나는 상이 별로 없는데?”, “그냥 공백으로 둬도 될까?”, “이건 써도 될까?”
사실 이 섹션은 단순히 ‘대단한 상’을 자랑하는 칸이 아니라, 여러분의 역량과 꾸준함, 성장의 증거를 보여주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Common App Honors 섹션을 전략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 Honors 섹션이란?

Common App Honors 섹션은 다음과 같은 수상·성과를 기재할 수 있는 칸입니다.

  • 최대 5개 항목 작성 가능
  • 100자 이내로 상의 이름과 간단한 설명 작성
  • 수상 학년인식 수준(School / State / National / International) 선택

🧠 이런 걸 적어도 될까요? YES! 포함 가능한 수상 예시

너무 거창한 상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아래 항목들도 모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포함 가능한 사례예시
학교 내 성적 관련 우등생 명단, 교장 명단, 학과 우수상 등
교내외 대회 수상 수학 경시대회, 독서 토론 대회, 모의재판 등
예체능 관련 상 시 공모전, 사진 공모전, 음악 콩쿠르 등
지역 봉사상 대통령 자원봉사상(PVSA), 지방자치단체 감사패 등
국가/국제 대회 AMC, PSAT/NMSQT, DECA, 과학 올림피아드 등
 

📝 단, 운동 경기 성적(예: MVP, 포인트왕)은 Activities 섹션에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합니다.


🔤 약어(Abbreviation)는 어떻게 써야 할까?

널리 알려진 대회나 기관의 경우에는 약어 사용 가능,
하지만 지역 대회나 생소한 기관명은 꼭 풀네임으로 쓰는 것이 좋습니다.

구분예시
✅ OK AMC (American Math Competition), AP Scholar, PSAT/NMSQT
❌ 지양 MCVORC (Montgomery County Vocal Orchestra Contest) → 풀네임으로 작성 필요
 

🏷️ “인식 수준(Recognition)” 어떻게 선택하나요?

수상한 기관/대회가 어느 수준의 범위를 가지는지 판단해 선택합니다.

구분설명
School 학교 내 수상 (예: 교장 명단, 학급 수학 우수상)
State/Regional 지역 단위 대회 또는 시·도 교육청 주관
National 전국 단위 (예: PSAT, AMC, AP Scholar)
International 다국적 참가자 대상 대회 (예: 국제수학올림피아드 IMO)
 

💡 여러 인식 수준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 National Honor Society → School + National


🔢 수상 순서는 어떻게 정리하나요?

다음 기준을 참고하세요:

  1. 가장 영향력 있는 상 먼저
  2. 전공과 관련된 경력 우선
  3. 가장 최근 수상 이력을 앞에 배치

예:
① AMC 수학 경시대회 우수상 (10학년, National)
② PSAT/NMSQT Semifinalist (11학년, National)
③ 고등학교 우등생 명단 (9~11학년, School)

🎯 비교과 활동과 겹치지 않게 정리하세요. 이미 활동(Activity)에 적은 내용을 반복하면 인상은 약해집니다.


✍️ 100자 안에 설명 쓰는 팁

이 짧은 공간에서 명확하게 내용을 전달하려면 다음을 고려하세요:

  • 대회/수상명은 정확히, 불필요한 수식어 생략
  • 생소한 수상은 간략한 설명 추가
  • 성과 강조: 1위, 상위 5%, Top 1%, 동상 등
  • 전공과의 연결성이 드러나면 더욱 좋음

❌ “XX상 수상”
✅ “Top 5%, 전국 고등학생 대상 수학 경시대회”


📎 수상이 너무 많을 땐?

5개 이상 작성해야 할 경우, 다음 방법을 추천합니다:

  1. 상위 5개만 Honors 섹션에 정리
  2. 나머지는 Common App의 ‘Additional Information’ 섹션에 요약 기재

단, 중학생 시절 수상이나 영향력이 약한 기록은 과감히 제외하세요.


🚫 흔한 실수 피하기

❌ 하지 말아야 할 실수✔️ 해야 할 방식
National Honor Societies 라고 잘못 표기 정확히 “National Honor Society”로
약어만 사용 생소한 기관은 설명 필수
수상기준 미기재 “Top 5%”, “1위”, “선발 기준 3.8 GPA 이상” 등 첨언
오래된 상, 중학생 시절 수상 포함 최근 9~12학년 중심으로 구성
 

Honors 섹션은 ‘양보다 질’입니다

미국 대학은 수상의 ‘갯수’보다 지원자만의 강점과 성실함, 맥락을 봅니다.
공란을 두는 것보다, 작더라도 의미 있는 상을 간결하고 전략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자신의 전공과 연관성 있는 수상 경력을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임팩트 있게 구성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