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일리 뉴스/오늘 꼭 알아야 할 정보

2025 한·미 연합훈련 ‘울치 프리덤 실드’ 개막, 대북 합의 복원 움직임까지

by 플라이드림 2025. 8. 19.
반응형

2025년 8월 18일, 한국과 미국이 연례 합동 군사훈련인 **울치 프리덤 실드(Ulchi Freedom Shield)**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훈련은 약 11일간, 총 21,000명의 병력이 참가하는 대규모 훈련으로, 한반도 안보 정세에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재명 대통령은 2018년 남북 군사합의의 부분적 복원을 지시하면서, 한반도 정세는 긴장과 대화의 가능성이 동시에 부각되는 복잡한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훈련의 배경과 의미 ▶ 북한의 반응 ▶ 대북 합의 복원 지시의 의미 ▶ 향후 전망을 차례대로 정리하겠습니다.


1. 울치 프리덤 실드 훈련 개요

  • 시작일: 2025년 8월 18일
  • 기간: 총 11일
  • 참가 규모: 한·미 합동 병력 약 21,000명
  • 훈련 목적:
    1. 북한의 군사적 도발 억제
    2. 한·미 연합 방위태세 강화
    3. 사이버·우주 등 신안보 영역까지 포함한 확장 억제 훈련

이번 훈련은 단순한 야외 군사 훈련을 넘어, 사이버 공격, 무인기 위협, 미사일 방어 체계까지 포괄해 **‘통합 안보 훈련’**으로 발전했습니다.


2. 북한의 반응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훈련 시작 직후, 이를 **“전쟁을 부추기는 도발”**이라고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 북한 매체는 한·미 훈련을 **“핵무장 강화의 명분”**으로 활용하며,
  • 추가적인 미사일 발사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즉, 훈련은 북한의 강경한 대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동시에 한·미의 결속력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3. 이재명 대통령의 ‘대북 합의 복원’ 지시

흥미로운 점은, 군사훈련이 개시된 같은 시기 이재명 대통령이 남북 군사합의의 부분적 복원을 지시했다는 사실입니다.

  • 2018년 남북 정상회담 당시 체결된 **‘9·19 군사합의’**는 군사분계선 일대에서의 무력 충돌 방지 장치 역할을 했습니다.
  •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남북 관계 악화로 사실상 무력화되었죠.

이번 복원 지시는 ▶ 남북 간 긴장 완화 ▶ 대화 채널 복원 ▶ 장기적 안정 확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4. 한반도 안보의 복합적 국면

현재 한반도는 훈련에 따른 긴장 고조합의 복원이라는 완화 시그널이 동시에 작동하는 상태입니다.

  • 긍정적 시나리오: 합의 복원이 실제 남북 대화로 이어져 긴장 완화
  • 부정적 시나리오: 북한이 훈련을 빌미로 군사적 도발 강화

국내적으로는 ▶ 훈련 필요성과 ▶ 남북 대화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2025년 8월의 한반도는 긴장과 대화가 교차하는 시점에 서 있습니다.
울치 프리덤 실드 훈련은 안보 공백을 막기 위한 필수적 조치이지만, 동시에 남북 간의 긴장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재명 대통령의 대북 합의 복원 지시는 대화와 평화의 가능성을 다시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안보 강화를 위한 군사훈련”과 “남북 간 합의 복원” 중 어느 쪽이 더 시급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