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에도 알바 시급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법으로 정해진 최저시급은 9,860원인데, 나는 왜 9,000원을 받고 있지?”
“배달은 건당 수당이 줄었고, 편의점은 야간 가산이 안 붙어요”
이처럼 시급 정정 문제는 단순한 계산의 문제가 아니라, 권리의 문제입니다.
🔍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인가요?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5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9,860원입니다.
구분내용
시급 | 9,860원 |
주휴수당 포함 시 | 약 11,832원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적용) |
월 환산액 | 약 2,061,740원 (월 209시간 기준) |
주휴수당이란?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에게 주 1일 유급휴일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 일반 시급에 추가로 계산됩니다.
❗ 시급이 최저임금보다 낮은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최저임금법 제6조에 따라, 최저시급 미만 지급은 불법입니다.
즉, 편의점·카페·배달·학원 등 모든 업종에서 9,860원 미만의 시급 지급은 위법입니다.
✅ 시급 정정 신고 방법 (2025년 기준)
구분방법
전화 신고 |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 1350 |
온라인 접수 | www.moel.go.kr 접속 → 민원신청 |
오프라인 | 관할 지방노동청 민원실 방문 |
익명 신고 가능 | 실명 또는 비실명 선택 가능 |
신고 시 필요한 것
- 근무 시간 기록 (근무일지 또는 메모)
- 급여 명세서 또는 입금내역
- 시급 약속 내역(문자, 계약서, 카톡 등 캡처)
주의! 다음과 같은 사례는 시급 정정 대상입니다
사례정정 대상 여부
시급이 9,000원으로 책정 | ✅ 정정 가능 (최저임금 미달) |
야간 근무인데 시급 동일 | ✅ 가산수당 누락 가능성 |
주 15시간 넘는데 주휴수당 없음 | ✅ 위반 가능성 있음 |
계약서와 다른 금액 지급 | ✅ 정정 요청 근거 있음 |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고용주가 "요즘 이 정도면 많이 주는 거야"라고 말해도?
→ 상관없습니다.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Q2. 익명 신고하면 불이익 없나요?
→ 원칙적으로 보호되며, 신분 노출 시 불이익은 불법입니다.
Q3. 사장님이 “그럼 그만둬”라고 할까 봐 무서워요
→ 노동청은 ‘불이익 금지’ 조항을 운영 중이며, 신고자는 법적으로 보호됩니다.
“시급은 협상이 아니라, 권리입니다”
‘알바니까 이 정도면 됐지’라는 말,
이제는 그 말이 얼마나 무책임한지 아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 일을 했다면, 정당한 시급을 받는 건 기본권입니다.
💬 눈치 보지 말고, 정확히 알고 정확히 요구하세요.
💬 나 하나의 행동이, 다음 알바생을 지켜줄 수도 있습니다.
📌 2025년 최저시급은 9,860원.
그 아래는 ‘감사한 조건’이 아니라 ‘위법’입니다.
이제는 묻지 말고, 확인하고, 요구하고, 지키는 것.
그게 우리가 바꿀 수 있는 첫걸음입니다.
반응형
'데일리 뉴스 > 오늘 꼭 알아야 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키우는 부모라면 ‘이 병’ 지금 꼭 주의하세요 (2) | 2025.05.20 |
---|---|
롯데마트 ‘김맛나’ 몽드 셀렉션 금상 수상! 할인 행사까지 (1) | 2025.05.15 |
2025년, 몰라서 못 받는 정부 지원금 총정리 (2) | 2025.05.14 |
2025년 종합소득세, 이렇게 달라졌어요! 세금 신고 전 꼭 알아야 할 변화 3가지 (0) | 2025.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