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일리 뉴스/오늘 꼭 알아야 할 정보

2030이 명품을 사는 이유? 진짜는 리셀 투자 때문!

by 플라이드림 2025. 7. 17.
반응형

명품은 이제 부자들만의 사치가 아니에요.
2030 세대가 중고 명품을 사서 되팔고, 수익까지 남기는 시대가 왔습니다.

‘명품을 산다’는 건 이제 “나를 위한 소비”가 아니라, “미래를 위한 투자”가 되어가고 있죠.

오늘은 요즘 뜨고 있는 리셀 투자 열풍소비자·브랜드·플랫폼의 세 가지 시선으로 풀어봅니다.


1. 왜 다들 명품을 되팔려고 할까?

명품 가격은 매년 오릅니다.
2024년 루이비통은 평균 10~15% 인상, 샤넬은 더 올랐죠.
MZ세대는 이걸 그냥 넘기지 않아요.

  • 📈 “살 때보다 더 비싸게 팔 수 있다면?”
  • 🎒 “써보고 깨끗하게 팔면 손해는 없다”
  • 🧠 “주식은 무섭고, 명품은 손에 잡힌다”

그래서 이제 명품은 ‘일상의 금융자산’이 된 거죠.


2. 2030은 왜 새 상품보다 중고를 사지?

  • 중고가 더 저렴해서?
    → 아니요. 요즘 인기 아이템은 중고가가 더 비쌉니다.
  • 친환경이라서?
    → 그건 부수적인 가치고요.
  • 더 빠르게 구할 수 있어서!
    → 맞습니다. 리셀 플랫폼엔 구하기 힘든 희소템이 많거든요.

👜 그래서 2030은 크림, 트렌비, 트레드밀 같은
리셀 플랫폼을 쇼핑몰처럼 씁니다.


3. 중고 플랫폼이 이렇게까지 커졌다고?

실제로 요즘 리셀 시장 규모는 상상 이상이에요.

  • 2024년 기준 국내 중고 명품 시장 2조 원 돌파
  • Z세대 3명 중 1명은 “명품은 리셀로 산다”고 응답
  • 명품 브랜드도 직접 리셀 진출 중 (구찌, 루이비통 등)

💡 참고로, 요즘 인기 리셀 품목은 이런 것들:

  • 샤넬 클래식백
  • 나이키 콜라보 스니커즈
  • 에르메스 버킨백
  • 루이비통 키폴, 멀티포셋

4. 진짜 수익 나긴 하나요?

잘만 고르면 납니다.

  • 2021년 180만 원에 구매한 루이비통 백
    → 2024년 중고 리셀가 230만 원
  • 나이키 덩크 한정판
    → 정가 14만 원 → 리셀가 50만 원
  • 샤넬 미니백
    → 1년 사용 후 매입가와 판매가 거의 동일

물론 모든 아이템이 그런 건 아니고 보관 상태, 희소성, 시기 타이밍이 중요하죠.

하지만 분명한 건, “감가상각 없는 소비”라는 게 MZ에게 매력적이라는 사실입니다.


소비인가? 투자인가?

이제 명품 소비는 ‘지름신이 내린 충동’이 아니라, 전략적 소비 + 자산관리로 변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엔 리셀 플랫폼이 있고, 2030의 가치관이 있고, 명품을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금도 누군가는 자신의 첫 명품을 사면서, 그게 나중에 얼마나 오를지 계산 중일지도 몰라요.

반응형

댓글